친환경 제품 기준 및 현황
친환경 제품 기준
LS ELECTRIC은 ‘Futuring Smart Energy’ 달성과 Green Energy 기업으로서의 위상을 제고하고자 ‘친환경 제품 Grade 모델’을 정의하였으며, 이에 따라 체계적으로 친환경 제품을 관리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제품 Grade 모델’은 LS ELECTRIC의 주력제품 전 모델을 평가하여 각 모델의 친환경성 수준에 따라 3등급으로 관리함으로써 고객 지향적 그린 제품 개발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 녹색기술 : 온실가스 감축기술, 에너지 이용 효율화 기술, 청정 생산기술, 청정에너지 기술, 자원순환 및 친환경 기술 등 사회경제 활동의 전 과정에 걸쳐 에너지와 자원을 절약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의 배출을 최소화 하는 기술
** 녹색기술인증 : 녹색산업의 민간산업 참여 확대 및 기술시장 산업의 성장 유인을 위해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에 따라 녹색기술 및 사업을 명확화하기 위한 정부 인증제도
친환경 제품 현황
구분 |
단위 |
2020년 |
2021년 |
친환경 제품 매출액 |
천만원 |
37,751.0 |
32,578.4 |
총 매출액 |
천만원 |
185,458.6 |
187,744.8 |
유해물질 관리
(RoHS 6대 유해물질 사용제한 활동)
당사는 2006년 대외적으로 RoHS 규제에 대응하는 친환경경영 선언을 통해
EU RoHS(전기전자제품 유해물질 사용제한 지침) 6대 물질인 납, 카드뮴, 수은, 크롬, 난연제(PBBs, PBDEs) 사용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또한, 제품에 사용되는 모든 부품과 원재료에 대해 유해물질이 포함되지 않도록 검증 활동 및 관리를 강화하기 위하여 유해물질 관리시스템 구축을 완료하였고, 시스템 모니터링을 통한 제품 내 유해물질 사용을 줄일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당사 보유 주요 녹색기술
환경안전경영체계
환경안전보건 경영전략 및 비전
LS ELECTRIC은 무재해/무공해/무손실 사업장 구축을 통해 'G3(Green, Great, Global) ESH Company'라는 비전을 달성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각 분야별 환경안전관리 역량을 강화하고, 운영의 효율성을 제고하여 최적의 환경경영시스템 정착에 힘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환경안전보건 경영 선언
환경안전보건 경영활동을 ‘함께하여 더 큰 가치를’이라는 경영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기본 과제로 인식함으로써 모든 임직원이 쾌적하고 안전한 사회 구현을 실현하기 위해 다음 사항을 적극적으로 실천해 나아갈 것 입니다.
-
친환경 녹색 사업장 구축
제품의 설계에서 폐기 단계까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환경오염을 근원적으로 예방한다.
청정 생산 기술 적용으로 자원과 에너지 사용량을 최소화한다.
환경 관련 국제 협약, 법규, 사내기준 및 기타 요구사항을 준수한다.
주기적인 환경심사를 통해 환경성과를 분석하고 환경경영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선한다.
임직원의 환경보전 의식 향상을 위해 교육훈련 기회를 제공하고 환경보전활동에 적극 참여토록 한다.
-
안전하고 건강한 사업장 운영
모든 제품, 작업활동 영역, 설비, 공정 및 기술은 안전보건 영향을 우선 고려하여 적용한다.
안전보건과 관련된 국제협약, 법규 및 그 밖의 요구사항 이상으로 LS ELECTRIC의안전보건 관리기준을 설정하고 성과개선을 통하여 관리 수준을 지속적으로 향상 시킨다.
안전보건 개선을 위하여 적절한 자원을 제공하고 교육훈련을 통해 전 임직원의 능동적인 참여를 도모한다.
잠재적인 위험요인 파악 및 안전보건 위험성을 최소화하고 개선하기 위해 실천계획을 수립, 실행해 나감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활동을 전개한다.
건강증진 및 유지활동과 질병,사고 사건의 예방 활동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추진 조직
환경 및 안전보건 요인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사업장별 안전환경 전담 조직을 구성하여 환경안전보건경영체계를 구축. 운영하고 있습니다. 주기적인 W/S 및 점검, 지원활동을 전개하여 전 영역의 ESH 관리 수준을 상향 평준화 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국내외 ESH 관련 법규 및 규제 동향 파악과 분석, 대응 방안을 검토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하겠습니다.
ESH 점검활동
사업장의 환경안전 법규 준수 여부를 확인하고 개선항목 도출을 통해 리스크를 제거하고자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있습니다. 주요 점검 사항은 사업장 환경, 안전보건, 소방, U/T 설비에 대한 법적 요구사항 이행 실태 등이며, 현장 육안점검으로 도출한 개선 항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
1. 사전평가
관련 서류 취합 - 법규 서류 사전 검토
자가 점검 실시 - 체크리스트 활용
점검 계획 수립 - 점검 Scope/ 현장 중심 중점 확인 항목 선정
-
2. 현장 Audit
담당자 인터뷰 - 업무 처리 프로세스 확인
현장 점검 - 작업장 리스크 육안 점검
개선 Point 도출 - 부적합 사항 개선 요청
-
3. 사후관리
점검 결과 보고/공유
이행계획서 수립 - 개선 결과 F/Up 실시
이행실태 점검 - 개선 결과 유효성 평가
ESH 정보교류회 운영
강화되는 환경안전 법규와 제도, 이슈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환경안전 담당자를 대상으로 ESH 정보 교류회를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정보교류회에서 논의된 사항은 경영 실천을 위해 현장에 적극 반영하며, 이에 따른 개선사례는 개별 사업장 담당자에게 공유하고 있습니다.
사전 환경안전보건 심사 제도
사업 시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안전 영향을 사전에 예측, 분석하여 체계적으로 대응하고자 사전 환경안전 심사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최적의 환경오염 및 사고 발생 예방 설비를 도입하여 환경안전 법규를 준수하고 있습니다.
녹색구매
RoHS가 적용된 원자재(금속류)를 우선 구매하고 있으며, 자체 제정한 ‘녹색구매 가이드라인’에 의거하여 녹색구매 활동을 실행해 오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공정 및 사무활동에 투입하는 물품에 대해서 친환경 마크를 부착한 품목 위주로 구매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친환경 제품 구매활동을 전개하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환경안전 투자
환경 및 안전 보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해
친환경 제품 개발과 공정 개선에 집중 투자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에너지 사용 절감, 원자재 수율 향상, 환경안전 리스크 저감 등을 실현하기 위한 중장기 투자계획을 수립하여 실시할 예정입니다.
(단위 : 백만원)
항목 |
2018년 |
2019년 |
친환경 제품개발 |
5,879 |
8,519 |
공정 개선 |
271 |
14,044 |
환경안전설비 투자 |
405 |
411 |
환경안전설비 유지보수 |
274 |
875 |
합계 |
6,829 |
23,849 |
사업장 안전 관리
산업재해율 관리
안전은 산업현장에서 지켜져야 할 최우선적 가치입니다.
당사는 무재해 사업장 실현을 위해 2008년부터 안전보건 경영시스템을 도입하였으며, 위험성 평가 및 작업환경 개선을 통해 지난 2012년부터 현재까지 동종업계 대비 최저수준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외 건설공사 현장의 안전 확보를 위해 고위험 작업을 중심으로 매월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협력회사 교육과 기술 지원을 통해 상생의 안전관리 체제를 구축·운영하고 있습니다.
안전의식 강화 활동
임직원의 안전의식을 고취시키고자 부서별 안전관리 평가제 및 안전교육수행 평가제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임직원들의 안전에 대한 관심을 더 갖고 잠재 위험을 인식 함으로써 ‘무재해 사업장 실현’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게 되었습니다. 매월 1회 이상 사내 인트라넷 게시판을 통해 안전수칙과 실무 지침을 전달하여 임직원들이 현장에서 ESH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안전보건 경영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사고예방 프로세스
안전사고 예방과 작업환경 안전 확보를 위해 신규 설비는 도입전, 사전안전 보건 평가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설비 도입 이후에는 위험성 평가를 통해 잠재위험 진단을 수행하여 도출된 개선사항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점검 및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모든 안전관리 활동은 OHSMS18001에 의거하여 계획, 실행, 점검, 개선하고 있으며 프로세스 이행현황을 매년 내 외부 심사를 통해 평가 받고 있습니다.
협력회사 안전보건 역량강화 지원
협력회사 임직원의 환경안전 의식 향상과 환경안전 경영 활동에 대한 자발적 참여를 독려하고자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 중입니다. 매 분기 협력회사 대표가 참석하는 성과공유회를 통해 새로운 공유가치를 창출하는 협력의 장을 만들고 있으며, 더 나아가 무재해 사업장 달성이라는 공동의 안전보건 목표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협력회사에 대한 실질적 지원을 위해 환경 안전 전담부서에서 해당 사업장을 순회하여 안전보건 역량을 강화시키고 있습니다.
-
비상사태 대비 및 대응
사업장 비상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사고 발생이 우려되는 작업, 환경오염방지시설, 위험물 등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있으며, 유형별, 단계별 세부 비상사태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훈련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실제 사고 시 비상 조치 수준을 확인하고 비상대응 조직과 절차가 실효성이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2015년에는 소방서와 연계하여 긴급구조 불시 가동훈련을 실시하였습니다. 앞으로도 모든 구성원이 비상대응 매뉴얼과 개인별 비상대응 임무카드에 따른 신속한 초기대응이 가능하도록 해 나가겠습니다.
-
방재시스템 도입
전 사업장 화재폭발위험지역을 지정하여 위험관리 척도를 적용하는 한편, NFPA 방재안전 기준을 토대로 화재보험사 관점의 화재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개정 작업을 진행 중입니다. 또한 사업장 내 비상사고 대비를 위한 소방시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자 소방시설관리 시스템(Smart Management System)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긴급통제단 불시가동훈련
안전보건교육
안전의식 강화를 위해 임직원과 협력회사를 대상으로 현장
맞춤형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작업 공정 현장 관리에서 핵심 역할을 수행하는 관리 감독자에게는 주기적으로 외부 강사를 초빙하여 특별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인터넷 통신교육을 통해 다양한 무재해 기법을 습득하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안전보건 교육 체계
교육과정 |
내용 |
주기 |
법정교육 |
채용 시 교육 |
매월 |
정기교육 |
매월 |
관리감독자 교육 |
반기 |
전문교육 |
직무교육(환경,안전,보건,방재) |
연중 |
온라인이러닝교육 |
연중 |
임직원 보건 및 건강증진
작업환경 개선
근로자의 건강과 생산성의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소음, 분진, 유해화학물질 등의 유해인자 노출도를 측정/평가하고, 발견된 문제점을 개선하여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작업환경측정은 년간 2회 정기적으로 사외 전문측정기관을 통해 측정하고 있습니다.
건강증진 활동
보건관리 활동
-
건강관리실 운영
실시간 응급환자 대응 및 개인별 맞춤형
건강관리 실시
-
건강증진 프로그램
검진결과 의사 상담 및 정기적인 관리
-
건강검진
임직원 및 배우자 일반/종합검진 지원
-
5대 건강질환 집중관리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간장질환, 비만 판정
임직원 대한 집중 관리 프로그램 운용
-
금연캠페인
지역 보건소와 연계하여 임직원의 금연 활동 지원
-
근골격계 질환예방 프로그램
유해요인조사, 작업환경개선, 의학적 관리 실시
-
청력보존 프로그램
소음노출 평가(소음맵) 에 따른 설비 개선,
정기적 청력검사 실시
-
회식문화 ‘119 운동’
건전한 회식문화 정착을 위한 캠페인 활동
(1가지 술로, 1차만 하고, 9시까지 귀가)
감염성 질병 대응 체계 구축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신종 인플루엔자 등 신종 바이러스성 질병이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습니다.
신종 바이러스성 질병은 빠른 확산을 통해 대규모의 사상자를 발생시키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자체 방역 지침을 수립하여 예방 관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감염성 질병 대응 체계를 지속적으로 보완하여 임직원을 보호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대응활동
-
Blue
관심
(사전대응)
감염성 질병 정보 수집 및 정보 공유 실시
질병 관련 대비용품 구비/ 보건당국 연락망 확보
부서원 대상 예방 및 대처방안 교육 실시
-
Yellow
주의
(국내 확진자 발생)
전사 출장자/발병지 방문 임직원 DB확보
임직원 근태 관리/ 사업장 방역 계획 수립
사내 외부 방문자 질병관리 실시
-
Orange
경계
(사내 확진 의심/발병)
사내 질병 확산 여부 모니터링
확진자 의심 임직원 지정 병원 안내/자택 근무 실시
의심지역 출장 및 이동 최소화
-
Red
심각
(사내 감염 확산)
확진 임직원 지정병원 격리 조치 및 확산 여부 모니터링
국가 질병관리본부 통제 위임
환경 오염 물질 관리
대기 관리
대기오염물질 배출
공정 변경, 원부자재 대체 등을 통해 발생원으로부터 대기오염물질을 저감시키고 발생된 오염물질을 방지시설에서 처리하여 배출량을 최소화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방지시설은 설비별 계획에 따라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최적의 상태로 가동하고 있습니다. 이 덕분에 당사는 법적 배출 허용기준의 50% 이하 수준으로 오염물질을 배출하고 있습니다.
대기오염물질 방지시설 점검활동
오존층 파괴물질
당사는 오존층 파괴에 대한 전 세계적 협약인 몬트리올의정서에서 규정하고 있는 염화불화탄소(CFC; 프레온 가스) 계열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있으나, 염화불화탄소 계열 물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오존층 파괴지수(ODP; Ozone Depletion Potential)가 낮은 수소염화불화탄소(HCFC) 계열의 물질을 사업장 내 냉동기 및 냉방 설비의 냉매제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는 오존층 파괴를 막기 위해 ODP Zero 물질로 대체하여 적용할 계획입니다.
수자원 관리
물 부족국가로 분류된 우리나라의 상황을 고려하여
용수 사용량 및 폐수 배출량을 줄이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사업장 별로 인근 수계를 통해 용수를 공급받고 있습니다. 대부분은 제조 공정수로 사용하고 있으며, 생활용수와 소방용수로도 공급하고 있습니다. 발생 폐수에 대해서는 전량 전문 위탁처리 업체와 연계하여 적법하게 처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폐수 재활용 시스템 적정 운영과 용수 공급 압력 조정 등으로 물 관리를 효율적으로 전개할 예정입니다.
구분 |
단위 |
2020년 (실적) |
2021년 (실적) |
2022년 |
목표 |
실적 |
달성율 (%) |
용수 |
㎥ |
172,754 |
178,335 |
172,985 |
217,628 |
74.2 |
폐기물 관리
생산 공정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을 성상 및 처리 방법에 따라 적법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당 사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매년 80% 이상 재활용을 하고 있습니다. 임직원들의 자발적인 분리수거 문화 정착을 유도하고, 제품 설계 단계부터 원부자재 사용을 절감하는 등 폐기물 배출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사업장 배출 폐기물을 적정하게 처리하기 위해 폐기물 위탁처리 업체 대상으로는 계약 전 단계부터 점검 및 평가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구분 |
단위 |
2020년 (실적) |
2021년 (실적) |
2022년 |
목표 |
실적 |
달성율 (%) |
발생량 |
ton |
4,056.41 |
3,683.66 |
3,499.48 |
3,735.86 |
93.3 |
처리량 |
매립 |
ton |
7.19 |
8.14 |
7.73 |
3.56 |
154 |
소각 |
ton |
682.48 |
554.24 |
526.53 |
272.52 |
148.3 |
재활용 |
ton |
3,366.74 |
3,121.28 |
2,965.22 |
3,459.78 |
83.3 |
합계 |
ton |
4,056.41 |
3,683.66 |
3,499.48 |
3,735.86 |
93.3 |
재활용율 |
% |
83 |
84.7 |
80.47 |
92.6 |
115.1 |
유해 화학물질 관리
당사는 최근 산업계에서 발생한 다수의 화학사고 사례를 반면교사 삼아
화학 물질이 환경 및 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화학물질 관리 프로세스를 강화함으로써 공정에서 취급하는 화학물질을 적정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공정 개선을 통해 유해성과 위해성이 높은 화학물질을 친환경 화학물질로 대체하고 있으며, 작업자에게 화학물질 누출시 행동요령 및 안전 작업 수칙 등을 주기적으로 교육하고 있습니다. 또한 물질안전보건자료 및 안전표지판 등을 통해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